반응형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조선왕계보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것중에 흔한 오류~ 

    태종태세문단세 아니고 태정태세문단세 입니다.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조선왕계보는 조선왕조 700년의

    27명의 왕을 쉽게 외우기 위해 임금의 앞글자만 이어서 만든 문장입니다

    방송에서 많이 들어봤을 법한 태종태세문단세는 잘못된 표현임을 알고 있으면서 

    27명의 조선왕 그리고 중요한 업적과 사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할까요? 


    태조 이성계 어진

    1대 태조(1392-1398)
    이성계, 조선의 제 1대왕
    위화도 회군으로 인해서 조선을 새운 태조 이성계는 고려의 장수 였으나 명나라와의 전투를 위해 위화도로

    진격을 했다가 고려로 회군하면서 새로운 조선을 건국하게 됩니다. 

    2대 정종(1398-1400)
    이방과, 1대 태조의 둘째 아들. 
    정종으로 아버지인 태조 이성계를 도와 왜구 토벌에 공이 많았던 인물인 조선 개국 공신 중에 한명이죠

    재위기간이 2년밖에 되지 않습니다. 동생인 정안군과 태종 이방원의 왕자의 난으로 인해서 임금에서 내려오게 됩니다.



    3대 태종(1400-1418)
    이방원, 1대 태조의 다섯째 아들. 
    역사드라마에 많이 나오는 태종은 이방원으로 주로 등장을 합니다.

    형인 정종을 끌어 내리고, 자신의 왕위에 등극에 성공?한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서 사병을 없애고 관직제도를 

    개혁하게 되었죠

    고려말기 학자들을 숙청했던 사건이 유명한데 시조 단심가와 하여가를 통해서 그 이야기를 다시 들어 볼 수 있죠

    단심가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여 넋이라도 있고 없고,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하여가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칡넝쿨이 얽혀진들 그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 한평생을 누리니


    4대 세종(1418-1450)
    이도, 3대 태종의 셋째 아들.

    세종대왕의 업적은 매우 많아서 나열하기 힘들 정도이죠 

    대왕이라는 칭호는 모든 임금들에게 동일하게 적용했지만 조선시대에는 유독 세종대왕만 떠오릅니다.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정치, 사회, 경제, 문화, 과학, 음악 등 전 분야를 발전시켜 조선의 최고의 임금

    이외에도 왜구 침략을 막기 위한 대마도 정벌도 가능케 햇던 황금시대를 연 성군이죠


    ​5대 문종(1450-1452)
    이향, 4대 세종의 맏아들.

    성품이 온화하고 학문을 좋아한 왕이지만 짧은 왕위를 기록 합니다,

    원래도 몸이 약해서 세종대왕이 걱정을 많이 했는데 아버지의 건강함은 닮지 못하고 학문과 훌룡한 인품만 닮았죠

    병약하여 2년의 짧은 왕위를 마감했습니다.

    세종대왕의 업적에서 많은 공을 세운 문종은 대표적으로 측우기와 한글 창제에 기여를 했습니다. 

     

    영월군  영모전 단종 어진

    6대 단종(1452-1455)
    이홍휘, 5대 문종의 아들.

    정치적 야심에 희생된 비운의 소년 국왕이라고 표현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촌수로 따지면 작은아빠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찬탈 당하고 폐위당하며 유배를 떠나게 됩니다. 

    세조어진초본


    7대 세조(1455-1468)
    이유, 4대 세종의 둘째 아들(수양대군).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찬탈함.
    수양대군은 계유정난으로 임금의 자리에 올랐는데 세조라는 이름보다 수양대군으로 불리는 인물 

    왕위에 오르기 위해서 단종을 폐위시키고 그의 신하들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지만 

    저주를 받았는지 그의 아들들은 아버지의 업보로 단명을 하게 됩니다. 


    8대 예종(1468-1469)
    이황, 7대 세조의 둘째 아들

    큰아들인 의경세자가 왕세자고 책봉받지만 단명을 하게 되어 갑작스럽게 둘째아들이였던 

    해양대군이 조선 8대 예종으로 즉위를 합니다.

    그러나 13개월만에 병으로 인해서 죽게되지만 경국대전을 만드는데 일조를 했습니다


    9대 성종(1469-1494)
    이혈, 7대 세조의 손자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하기 이르르죠

    왕으로서의 수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조선 전기의 문물제도를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임금이지만 

    그의 어머니인 인수대비와 처인 폐비 윤씨 사건으로 인해서 고통을 받기도 했죠 

     

    10대 연산군(1494-1506)
    이융, 9대 성종의 맏아들(폐비 윤씨의 아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연산군은 종이나 조가 아닌 군으로서의 호칭이 마무리가 됩니다.

    왕위를 물려받았지만 조선 최초의 반정으로 폐위에 이릅니다. 

    어머니인 폐비 윤씨로 인해 벌어진 갑자사화 사건은 연산군의 광기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영화에도 많이 등장하는 갑자사화를 계기로 중종반정으로 폐위 하게 됩니다. 

     

    11대 중종(1506-1544)
    이역, 제9대 성종의 둘째 아들

    연산군의 이복동생인 중종은 중조반정으로 연산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중종은 훈구파를 몰아내기 위해서 왕권강화와 개혁정치를 꿈꿧지만 훈구파의 계략에 의해서

    조광조를 몰아내고 기묘사화로 결국은 훈구파를 부흥시키게 됩니다


    12대 인종(1544-1545)
    이호, 11대 중종의 맏아들

    비운의 왕인 인종은 재위기간이 1년도 되지 않을 만큼 짧게 왕위를 지냈습니다.

    성품이 온화하고 효심이 깊었던 왕이였으며 조선시대 최고의 영재라는 소리를 들었던 인종은 

    겨우 8세의 나이에 성균관에 입학할 정도로 뛰어난 재능을 지녔죠

    하지만 너무 병약한 나머지 8개월의 짧은 기간 왕위를 기록하게 됩니다. 

     

    13대 명종(1545-1567)
    이환, 11대 중종의 둘째 아들

    형인 인종의 죽음으로 갑작스럽게 맞이한 명종은 12세에 즉위하게 됩니다.

    갑자기 왕위에 오른 터라 왕이 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서 문정왕후의 수렴청정을 받게 됩니다.

    문정왕후가 일으킨 을사사화로 힘들어하지만 문정왕후가 죽고난 후 짧은 자유를 누리고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14대 선조(1567-1608)
    이균, 11대 중종의 손자

    서자의 콤플랙스를 달고 사는 선조는 당쟁과 왜군의 침입에 휩싸인 왕 비운의 왕입니다.

    선조 시대에 사림의 중앙정계 진출이 이루어졌지만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어 붕당의 당쟁이 이어진 찰나

    왜군의 침입으로 혼란의 시기를 보내게 된 선조 입니다. 
    임진왜란의 영웅이였던 이순신 장군을 배척한 것도 질투심 때문인 것도 세조의 콤플랙스 때문입니다. 


    15대 광해군(1608-1623)
    이혼, 14대 선조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던 그이지만 정작 아버지인 선조로부터는 인정을 받지 못하죠

    임진왜란 이후에 왕위에 오르면서 대동법(쌀로 세금을 걷는 제도)을 시행하였고 실리외교를 택하기도 했죠

    하지만 이런 광해군은 인조반정으로 왕위에서 폐위 하게 됩니다.

    자신을 위협하는 세력을 척결하고 무리한 궁궐을 중축 하다가 폐위가 되었다고 하지만

    광해군은 후대에서 더 인정을 받은 왕으로 손꼽힙니다.

     

    16대 인조(1623-1649)
    이종, 14대 선조의 손자

    인조반정에 의해서 작은아버지를 왕위에서 물러나게 하고 왕위에 오른 인조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청나라와 싸웠고 남한산성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지만 결국은 패하며

    삼전도 굴욕을 겪은 왕으로 잘알려져 있습니다

     


    17대 효종(1649-1659)
    이호, 16대 인조의 둘째 아들

    인조의 둘째아들인 효종은 청나라에게 당한 굴욕을 되갚아 주기 위해서 북벌 계획을 세웠으면

    이를 국시로 내세웠지만 기회를 얻지 못하엿죠
    북벌을 위해서 조선의 군사력 강화에 기여했던 효종은 어영청, 수어청, 속오군 등 군력 강화에 힘썻습니다



    18대 현종(1659-1674)
    이연, 17대 효종의 아들

    소현세자와 청나라에 볼모로 붙잡혀 갔던 치욕적인 역사속에서 청나라에서 태어난 현종은 치욕적인 역사를 

    잊지 않고 강화도에 국방을 더 강화하는 등 국방에 힘을 썻습니다

    하지만 남인과 서인의 예송논쟁으로 국력이 쇠퇴되어 힘을 잃기도 했죠 


    19대 숙종(1674-1720)
    이순, 18대 현종의 아들

    조선새대에 당쟁과 궁중의 암투가 가장 극에 달했던 시대의 왕인 숙종은

    45년간의 왕위를 지키면서 왕권강화를 위해서 붕당정치를 잘 활용을 한 임금 입니다

    국방력 강화를 위해서 북한산성, 평양성, 안주성 등 국가 안보를 위해 여러 성들을 쌓아 올리기도 했던 왕이지만

    인현왕후와 장희빈의 일화가 더욱더 유명합니다.


    20대 경종(1720-1724)
    이윤, 19대 숙종과 희빈 장씨의 아들

    장희빈의 아들로 왕위에 올랐지만 재위 4년의 짧은 왕위를 마치고 세상을 떠납니다

    노론과 소론 당쟁의 절정기에 달했던 시기이기도 하죠

    〈 영조 어진 〉, 국보 제932호


    21대 영조(1724-1776)
    이금, 19대 숙종과 숙빈 최씨의 아들

    붕당 대립을 완화하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하는 업적을 남겼습니다

    균역법을 시행하여 백성의 군역 부담을 줄여주기도 했던 그이지만 
    영조의 유일한 흠? 이라면 세자인 사도사제를 뒤주 뒤에서 죽게 만든 사건이 아닐까 싶습니다. 

    정조


    22대 정조(1776-1800)
    이산, 21대 영조의 손자

    사도세자의 아들인 정조는 조선 후기 시대의 황금기를 이루었습니다. 

    아버지인 사도세자가 뒤주간에서 죽은 임호화변을 겪었지만 왕위에 올라서 탕평책을 계승하고 인재를 고루 

    등용하는 등의 정책을 많이 펼쳤습니다. 

    조선 후기 황금기를 이뤘을 만큼 한석봉, 김정희, 박지원 등 인재들의 등용을 이끌어 냈으며 

    국방력 강화에도 힘썻습니다

    익선관 차림의 순조 어진(1808년)


    ​23대 순조(1800-1834)
    이공, 22대 정조의 둘째 아들

    조선 후기 개혁과 대통합을 실현한 왕 정조의 둘째아들인 순조는 정조의 갑작스런 죽음으로11세에 즉위 합니다

    이에안동 김씨가 세도정치를 하게 되면서 백성들이 핍박을 받게 되고 1811년 홍경래의 난이 일어나기도 했죠 

    천주교를 박해한 신유백해 사건과 공노비를 해방하기도 하였죠 

    본격적인 세도정치의 시대가 열리고 당시의 조선시대 상황은 혼란스럽기 그지 없었습니다


    24대 헌종(1834-1849)
    이환, 23대 순조의 손자

    8세에 즉위한 헌종은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의 권력 투쟁에 휘말리게 되고 조선시대의 상황이 혼란스러웠죠

    힘 없는 어린 임금이다보니 혼란스러운 나라 안밖의 상황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했던 헌종은 

    이 시기에 조선은 신분제도도 흔들리고, 전염병도 창궐했던 아주 불안했던 시기~

    또한 헌종은 천주교 박해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던 왕이기도 합니다. 

    구군복  차림의 《 철종 어진 》


    ​25대 철종(1849-1863)
    이변, 22대 정조의 동생인 은언군의 손자

    왕족이지만 왕위 계승은 어려웠던 철종은 1844년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19세 나이로 즉위하게 됩니다
    이 시대에는 최제우의 동학, 진주민란, 제주민란 등 민란이 많이 일어나던 시기

    안동김씨의 세도정치가 극에 달했으며 철종 역시 안동김씨 일가의 눈치를 보며 살게 된 왕입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고종황제 어진 (작자 미상)


    26대 고종(1863-1907)
    이공,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12세에 즉위한 고종은 조선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 제1대 황제 입니다.

    일본의 침탈과 임오군란, 갑신정변 등 나라 밖이 매우 혼란스러운 때의 왕이였던 고종과 함께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인물은 다름 아닌 아버지 흥선대원군과 부인인 명성황후

    국력이 부족했던 시기에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를 잃고 대한제국을 선포하기도 했죠

    원유관 차림의 순종


    27대 순종(1907-1910)
    이척, 26대 고종의 둘째 아들

    조선의 마지막 왕이였던 순종은 왕이지만 왕 대접을 받지 못했던 비운의 왕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조선왕계보로 알아본

    조선왕조 700년의 27명의 임금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는 안창호 선생님 말처럼 

    역사를 잊지 않고 미래를 준비하는 우리가 되어야 되지 않을까요?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